ia2 인지과부하 UX 작업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인지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해야 한다. 그 용어에 대해서는 어디선가 들었기 때문에 알고는 있지만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다. UX디자이너라면 '인기과부하'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있어야 고객을 설득할 수 있다.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도록 강요한다. 혼란스러운 옵션, 인터페이스, 많은 내용은 끊임없이 문제 해결을 생각해내야 하는 압박을 받게 만든다. 인지부하 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화면을 설계해야 인지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인지부하 : 인간의 작업기억이 처리할 수 있는 총정보량 인지과부하 : 작업기억이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많은 정보를 받아들여 의사결정이 혼란스러워질 때 발생 인지 기반 이론의 응용디.. 2020. 8. 18. 화면흐름도(플로차트), IA 설계 본 게시물은 개인의 공부 목적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아래는 송미경님의 게시물을 가져온 것이다 일단 두 문서 모두 전체 구조를 파악할 때 작성하는 문서로, 프로젝트 규모를 빠르게 파악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화면흐름도와 IA문서 작성법을 알아보고 어떤 목적으로 작성 하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도록 합시다. 화면흐름도와 IA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IA는 메뉴를 분류/그룹화하여 Depth 구조로 설계한 것이고, 화면흐름도는 화면, 기능 단위로 사용 동선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두 문서를 사용하는 목적은 같으나,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IA는 대기업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들어갈 때 사용하면 좋고, 화면흐름도는 스타트업 규모에서 작성하기 용이합니다. 아래 장단점을 읽어보고 자신의 팀에게 맞는 문서는.. 2019. 7.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