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 MBO 이런 용어도 자꾸 몰라서 찾아보게 되는데,
요새는 또 OKR이라면서, OKR을 책정해야 한다면서 주위(웹)에서 수근수근이수근대는데...
OKR은 무언지 알아보자.
- OKR(Objective & Key Results)이란? 회사, 사업부, 그리고 각 직원들의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
🧩 OKR의 구조
- Objective(목표): 성취해야 할 대상인 '목적지'의 역할
- Key Result(핵심 결과): 목표 달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이정표'의 역할
🤹♂️ OKR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
- Objective(목표)는 도전적으로: 달성 확률이 50~70% 정도 수준인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할 것
- Key Result(핵심 결과)는 측정 가능해야 하고, 하나의 Objective(목표) 당 3~5개를 넘지 않아야 한다.
- 만약 Key Result들이 모두 달성된다면 해당 Objective 역시 반드시 달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할 경우, Key Result를 잘못 설정한 것!
🧶 반드시 CFR이 함께 이뤄져야 함!
- Conversation(대화), Feedback(피드백), Recognition(인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OKR을 관리할 것
출처: 퍼블리
'UX > 기획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설계 체계의 종류 (0) | 2021.08.26 |
---|---|
스토리보드 디스크립션 쓰는 방법 (0) | 2021.08.21 |
진짜 문제를 찾는 법(UX) (0) | 2021.08.06 |
설문조사의 신뢰 수준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 | 2021.07.02 |
스토리보드 작성 (0) |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