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설계(IA, Information Architecture)의 목적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정보 설계시 관점과 시점
정보 설계를 할 때 고객의 관점에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어떤 방식으로 지원할 것인가를 유의해서 설계해야 한다.
웹사이트의 조감도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일이며, 이것은 웹사이트가 만들어지기 전 설계 단계에서 해결해야 한다.
정보 설계 체계의 순서와 정렬
1. 명확한 콘텐츠 체계
- 단어 순서에 따른 분류
백과사전이나 일반사전 등에서 사용하는 콘텐츠 체계.
이미 알고 있는 항목에 대한 빠른 검색과 간단한 디렉터리 브라우징을 지원한다.
예) 네이버 전체 서비스, 네이버 국어사전, 주니어 네이버
- 시간 순서에 따른 분류
보도자료나 기사의 경우에 적합하다.
예) 멜론매거진, 네이버 스포츠의 경기 일정
- 지리적 위치에 따른 분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들은 장소와 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 케이웨더, 영업점 찾기
2. 모호한 콘텐츠 체계
정보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체계를 다른 방법으로 정리해야 한다.
- 주제별 체계
정보를 주제나 화제에 따라 구성한다.
- 작업 지향형 체계
콘텐츠와 응용 도구를 프로세스와 기능, 업무의 집합으로 묶어서 편성한다. 물론 이러한 분류는 웹에서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예) 워드, 포토샵 등
- 사용자 구분형 체계
사용자가 두 그룹 이상이라면 사용자 구분형 콘텐츠 체계가 알맞다.
- 은유형 체계
새로운 것을 이미 잘 알고 있는 개념과 연계지어 표현한다.
예) 데스크탑의 휴지통과 휴지통비우기와 같은 일상용어를 이용하는 부분
- 혼합 콘텐츠 체계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하나의 체계만으로 구성되기는 힘들것이다. 작업 지향, 은유 기법, 사용자별, 주제별 등의 체계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체계를 잡는다.
- 중요성과 사용 빈도에 따른 콘텐츠 체계
웹사이트 제작의 초기 단계에서 AS-IS를 충분히 분석하면 어떤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중요하며 자주 사용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물론, 개인의 예측보다는 정성/정량적 분석을 통해 고객의 생각을 읽는것이 더 중요하다.
예) 메뉴 상단에 중요한 메뉴를 두는 방법, 가장 많이 쓰는 기능을 CTA 형식으로 노출하는 방식
'UX > 기획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구조(IA) 설계 필요성과 유형 (0) | 2021.09.19 |
---|---|
벤치마킹 프로세스(1~2단계) (0) | 2021.09.19 |
스토리보드 디스크립션 쓰는 방법 (0) | 2021.08.21 |
OKR은 또 뭐야 (0) | 2021.08.13 |
진짜 문제를 찾는 법(UX)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