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X/UX개념20

기능정의서 세부화면 기능정의서(IA, Information Architecture) 웹 사이트에 구현되는 기능을 글로 표현한 문서 사이트가 집이라면, 기능은 블록과 같은 재료라고 볼 수 있다.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단계에서 각 담당자들은 기능정의서를 보고 작업의 분량이나 방향을 가늠한다. 또한 이 문서를 바탕으로 고객과 전반적인 웹사이트의 범위나 방향에 대해서 검토하고 협의한다. 기능정의서의 폼은 회사마다 정말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여기저기 검색할 때마다 세부항목을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심지어 한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특성에 맞게 항목을 다르게 하기도 한다) 기능정의서 샘플 국가대표포털_I.A.xlsx Dropbox를 통해 공유함 www.dropbox.com 아래는 그 중에서도 꼭 쓰이는 부분을 기록해보.. 2020. 9. 7.
e-Commerce 필수개념 상품 카테고리 ≠ 메뉴 메뉴 : 모든 메뉴이며 계속 변해선 안되는 성질 상품 카테고리 : 푸드>과일>사과 와 같은 상품별 카테고리이며, 판매상황에 따라 변할수 있음 데이터 호출 하나의 레이아웃을 가지고 데이터를 다르게 호출한다 >기획/디자인/퍼블은 한번 했으나 개발단에서 다르게 호출하여 보여줌 하나의 데이터를 중복해서 호출할 수도 있다 하나의 데이터인데 서로 다른 화면에 뿌려질 수 있다, 필터별로 다르게 보이게 하거나, 인기상품별로 모아 보여주는 등의 경우 동일한 데이터에도 약간의 변화를 준다 프로그램 연동 본인인증 프로그램 연동 - 회원가입 시 본인인증(휴대폰 인증 등, 기획자가 기획하지 않고 솔루션을 불러와서 하는 부분) 결제 시스템 연동(카드 선택, 본인인증 절차 등을 진행하는 부분 솔루션을 불러와.. 2020. 9. 4.
웹사이트 구축 프로세스 웹사이트 구축 프로세스 1. 분석 1)제안요청서, 사업계획서 검토, 미팅으로 요구사항분석 - 실현 가능한 요구사항인가? - 요구한 기능과 유사한 기능이 있는가? - 클라이언트가 요구한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는가? 2) 벤치마킹(타 사이트) - 이용자층 분석 - 디자인, 레이아웃 분석 - 서비스 분석 - 마케팅 분석 - 종합 평가 3) 기능정의서/정책정의서(웹사이트 내 규칙) - 엑셀문서로 기능명/뎁스/구현대상/작업요소/관리자연동/기능 정의 등 - 정책명/세부항목/내용/정의(회원가입정책, 결제정책, 포인트 정책 등) 4) 일정산출(모든 팀, 고객과 협의를 통함) - WBS(Work Breakdown Structure) 작성, 계약서의 일종이므로 너무 타이트하지 않게 필요(꿈..) 2. 설계 1) 사이트.. 2020. 9. 4.
모바일 사이트 만들기 전 알아야 할 것 PSD는 640px로 만든다 웹사이트는 1280기준 사이트면 1200px 사이즈로 주로 만들게 된다. 모바일 사이트는 최저 해상도 320px로 작업하며 psd는 640px 사이즈로 작업하여 퍼블 시 반으로 줄여 작업한다. 폰트 사이즈 또한 짝수로 만들어서 작업하는 것이 좋다.(소수점일 시 뭉그러져 나오거나 나눠서 작업하기 까다로워진다) ​ meta의 viewport를 사용한다 모바일 기기 내의 사이즈를 100% 가로, 세로 사이즈로 꽉 차게 구현해야 한다. 1) userscale - 양손 터치할 때 확대/축소 기능 : 메타에서 제어 가능하다 (대부분은 양손 터치를 못 하게 한다.) 2)모웹 접근성 - 텍스트 명도 차이를 많이 주게 하여, 다양한 색상을 쓸 수 있도록 함 ​ HTML5, CSS3를 적극 활.. 2020. 8. 12.